SNS에서 팬아트, 캐릭터 이미지, 이모티콘을 활용한 콘텐츠는 정말 흔합니다. 귀여운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으로 감정을 표현하거나, 직접 그린 팬아트를 프로필 사진이나 배경에 올리는 일도 일상적인 일이 되었죠.
하지만 이런 콘텐츠들이 모두 합법일까요? 특히 수익이 연결되는 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계정이라면 더 조심해야 합니다. 팬아트나 이모티콘도 저작권 보호 대상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NS에서 자주 사용하는 팬아트와 캐릭터 이미지, 이모티콘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저작권 이슈를 실사례 중심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팬아트, 내가 그렸는데 왜 문제가 되죠?
팬아트는 분명 내가 그린 창작물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 팬아트의 "기반이 된 원작(캐릭터)"에 있습니다.
- 예: ‘포켓몬스터 피카추’를 그렸다면, 그 캐릭터의 저작권은 여전히 닌텐도에 있음
- 내가 새롭게 표현했어도 2차 저작물로 간주되며, 원작자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음
→ 특히 해당 그림을 프로필, 굿즈, 수익 콘텐츠, 광고용 썸네일 등에 사용하면 법적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모티콘도 저작권 보호 대상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모티콘은 가볍게 쓸 수 있는 이미지’로 여기지만, 대부분의 이모티콘은 디자이너 또는 기업의 저작물입니다.
- 카카오 이모티콘, 라인 프렌즈, 짱구, 산리오 등 모두 상업적 보호 대상
- 구매해서 사용하더라도, ‘이모티콘 자체를 재활용하거나 게시물로 공유’하는 행위는 저작권 침해가 될 수 있음
예를 들어:
- 인스타그램 카드뉴스, 블로그 썸네일, 유튜브 썸네일에 이모티콘을 삽입한 경우
- 이모티콘 모음 이미지를 만들어 SNS에 공유한 경우
이러한 사용은 ‘2차적 이용’ 또는 ‘복제·공중 송신’에 해당되어 위반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업적 사용 여부가 가장 중요합니다
단순한 비상업적 SNS 사용은 대부분 묵인되지만,
수익을 얻는 콘텐츠에서 이모티콘이나 팬아트를 활용할 경우엔 반드시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애드센스 광고가 달린 블로그, 브랜드 협찬이 있는 인스타 피드, 수익화된 유튜브 영상 등에서는 특히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원작자의 저작권 또는 상표권 존재 여부
- 사용 범위 (프로필, 썸네일, 상품 디자인 등)
- 저작권자의 허용 정책 (일부 기업은 팬아트 사용을 허용하는 가이드라인 제공)
실수하기 쉬운 상황 정리
상황 | 위험도 | 주의점 |
팬아트를 프로필 사진으로 사용 | 중 | 플랫폼이 상업용이면 침해 소지 있음 |
이모티콘을 카드뉴스나 썸네일에 활용 | 높음 | 수익화 목적 콘텐츠엔 위험 요소 |
캐릭터로 굿즈 디자인 후 판매 | 매우 높음 | 명백한 상표권/저작권 침해 |
팬아트를 무료로 배포 | 중 | 원작자 허락 없으면 문제될 수 있음 |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 공식 라이선스를 확인하자
→ 카카오, 산리오, 디즈니 등은 팬아트 활용 범위나 금지 범위를 공식 가이드로 제공 - 비상업적 개인 사용에 한해서만 활용하자
→ 수익 목적이면 반드시 별도 라이선스를 취득하거나 사용을 피해야 함 - 무료 라이선스 캐릭터 이미지나 CC 라이선스 콘텐츠 활용하기 → 예: OpenDoodles, Flaticon 일부, Pixabay 등
- 창작자가 직접 만든 캐릭터로 콘텐츠를 제작하자
→ ‘내가 만든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면 법적 위험 없음 + 브랜딩에도 유리함
마무리하며
SNS는 누구나 자유롭게 창작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그 안에 사용되는 이미지 하나하나도 누군가의 창작물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특히 이모티콘, 캐릭터, 팬아트처럼 귀엽고 친숙한 이미지일수록 귀여워서 무심코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들은 대부분 저작권 보호 범위가 넓고 상표권과도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팬아트의 경우에도 '내가 직접 그린 그림'이라고 하더라도, 그 원형이 되는 캐릭터가 존재한다면 이는 2차 저작물로 분류되며, 원작자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콘텐츠 제작자라면 창작자의 권리를 존중하고 허락을 구하는 태도가 기본적인 예의이자 책임입니다.
결국 내 창작물을 지키고 싶다면, 먼저 타인의 창작물을 존중하는 것에서 시작되어야 합니다. 오늘도 안전하고 창의적인 SNS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 걱정 없는 창작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SNS에서 콘텐츠 아이디어를 훔쳐갔다고요? 아이디어도 저작권 보호가 될까? (4) | 2025.07.16 |
---|---|
릴스 자막 따라 했다가 저작권 걸릴 수도?|자막도 창작물입니다 (3) | 2025.07.15 |
틱톡 사운드, 유튜브 쇼츠에서 써도 괜찮을까?|SNS 음원 저작권의 함정 (1) | 2025.07.13 |
내돈내산? 당첨 후기? 협찬 콘텐츠 광고 표기 기준 완벽 정리 (4) | 2025.07.12 |
ChatGPT로 만든 뉴스 요약, 저작권 문제 없을까? (2) | 2025.07.12 |